gjdms611

[BOJ] 18808 - 스티커 붙이기

[백준] 18808 - 스티커 붙이기 풀이 시간 : 61분정도. N과 M의 크기가 작고 스티커를 확인하는 순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시간복잡도가 넉넉하다. 즉 그냥 완전탐색으로 풀면 된다. 구현하다가 헷갈리는 일이 없도록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와 스티커를 붙이는 함수를 따로 빼서 정의했다. 자꾸 i와 j를 헷갈린다던지 R과 C를 바꿔...

[BOJ] 5373 - 큐빙

[백준] 5373 - 큐빙 풀이 시간 : 전날에 2시간 풀고 밥먹고 또 1시간정도 하다가 다음날 1시간정도 붙잡고 고쳐서 완성한 것 같다. 구현에서 꼬이면 어디까지 엉망진창이 될 수 있는지 잘 느낀 문제였다. 처음에 파라미터값을 설정해놓고 모두 같은 방식으로 for문을 돌려서 해결하려고 했는데 중간에 인덱스가 꼬이고 문제가 생겼다. 해결하려니 어디서...

[BOJ] 16235 - 나무 제테크

[백준] 16234 - 인구 이동 열심히 다 구현하고 TC를 돌렸는데 TC가 제대로 안나오는 것이다. 그래서 디버깅을 했는데 내 알고리즘에서는 너무 완벽했다. 문제를 다시 읽어보니 한 칸에 여러 나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완전히 놓치고 풀었다. 다행히 크게 코드 변경을 하지 않고도 문제를 풀 수 있었다. 그렇지만 약간의 피눈물이 날 뻔 했다.. 문...

[BOJ] 16234 - 인구 이동

[백준] 16234 - 인구 이동 나는 이동할 수 있는 모든 나라들은 연합을 이루어 인구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보자마자 Union-Find문제라고 생각했다. 과연 옳은 접근이었을지는.. 모르겠지만.. 풀고 나서 문제 분류를 보니 그래프를 만들어서 푸는 것 같은데.. 유니온 파인드도 그래프를 만드는거니까 나름 맞는 접근이었던게 아닐까..? ...

[BOJ] 17825 - 주사위 윷놀이

[백준] 17825 - 주사위 윷놀이 구현에서 가장 편한 방법을 찾아가고 있다. 이번에는 무식하게 각 위치에서 주사위마다 갈 지점을 일일이 vector로 저장해놓고 시작했다. if else로 일일이 지정하는거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고.. 코딩하면서 헷갈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. 늘 그렇듯 구현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는 크게...

기초 자료구조

자료구조란? 자료를 쉽게 처리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방법이다. 각 데이터의 종류(가장 많이 쓰이는 연산)에 따라 알맞은 자료구조 선택이 중요하다. 시간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라고 할 수 있다. 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 말 그대로 시간이 얼마나 걸...